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고] 오케스트라 지휘자를 원한다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세계적 명성을 얻기까지는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종신 상임 지휘자를 비롯한 거장 지휘자들의 덕이 크다. 그들의 재능과 열정, 그리고 뛰어난 리더십이 청중들을 사로잡아 감히 넘볼 수 없는 베를린 필의 아성을 쌓은 것이다.     오케스트라는 현악기,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명 오케스트라의 단원은 모두 세계적인 연주자들이다. 그들이 각자의 개성은 죽이고 지휘자의 지휘봉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하모니를 이루며, 연주하는 모습은 예술의 극치다. 한 사람의 지휘에 의해 완벽한 하모니를 이룰 수 있는 것은 지휘자의 뛰어난 곡 이해와 강력한 리더십, 그리고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절제된 최고 기량을 발휘하는 연주자들이 있기에 가능하다.     정치도 오케스트라가 아닐까. 대통령이 국정철학과 비전을 갖고 청중인 국민을 위한 최고의 연주를 할 수 있다면 위대한 지휘자의 칭호를 받지 않을까. 그러한 지휘자를 갖는다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모두에게 만족감을 줄 수는 없더라도 애쓴 흔적은 있어야 한다. 지휘자는 한 파트의 음에 오류가 있다면 이에 신속히 대처해 오케스트라 전체가 엉망이 되는 것을 막아야 할 의무가 있다. 그 책임은 전적으로 지휘자에게 있기 때문이다. 청중들은 완벽하지 못한 연주에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왜냐하면 청중들은 온전한 하모니를 원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지휘자나 각 파트의 연주자들은 최선을 다할 수밖에 없다. 듣는 귀는 그들보다 더 높이 있기에 말이다.   이번 한국 총선 결과를 봐도 그렇다. 집권여당의 대승이 마땅한데 어처구니 없게도 참패를 했으니 막말로 여당은 완전히 스타일 구긴 꼴이 되었다. 결국 지휘자인 대통령에게 책임이 전가되어 버렸다. 지휘자가 청중인 국민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 것이다.     청중은 지휘자를 향해 무엇을 원했을까. 지휘자에 의해 연주자가 하나 된 아름다운 선율의 하모니를 기대했다. 청중이 오케스트라에 동화되어 감동하는 그런 것을 원했는데 그렇지 못했다. 왜 그럴까? 보수를 너무 강조하다 보니 얻은 것도 있었지만 잃은 것도 많았다. 그것도 막판에 국민의 마음을 얻지 못했다.   과연 보수의 가치란 무엇일까? 보수의어학적 의미는 보존, 유지를 뜻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보수주의자는 무엇을 지키고 유지하고 싶어 할까? 그  보존의 대상은 대개 가족, 전통, 신앙, 사유재산, 법, 질서, 도덕 등을 의미한다. 그러니 사상적 이념도 보수의 가치다. 왜냐하면 보존의 대상과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남북한이 분단되어 있기에 더욱 그렇다. 그렇다고 이념만을 고집하는 것이 보수라고 생각한다면 그것도 잘못됐다. 진보보다 앞서 국민의 삶을 헤아려야 한다.   한국은 개발도상국 단계를 지났지만 여전히 빈부 격차가 심하다. 그것도 수도권 중심으로 더 심각하다. 그런데 개념에 대한 오해로 보수는 부자들을 위한 것으로 잘못 이해되고 있다.  그래서 서민층에서는 보수에 대한 적대감이 있다고 본다.     선거 때가 되면 진보는 포퓰리즘을 앞세워 표를 모은다. 어떻게 보면 국민이 보는 시각에서 보수는 먹는 문제에 별로 관심이 없어 보이고, 진보는 이것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에 진보로 다가갈 수밖에 없다. 생활고를 겪게 되면 정부의 정책에 민감해진다. 그런데 서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 정책이 미흡하니 어느 누가 여당에 표를 주겠는가.   이번 총선에선 보수가 주장한 범죄자 문제 보다 먹고사는 문제가 표심을 갈랐다고 본다. 특히 수도권은 이런 문제에 민감한 지역이다. 그러니 포플리즘적 공약에 더 관심이 가는 것 아니겠는가.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는 어려운 역할이다. 그래도 청중에게 감동을 주는 오케스트라를 만드는 게 임무다.   박철웅 / 일사회 회장기고 오케스트라 지휘자 오케스트라 지휘자 상임 지휘자 거장 지휘자들

2024-04-22

[왜 음악인가] 카리스마를 경계한 지휘자

 무대를 장악하는 지휘자는 분명 아니었다. 베르나르트 하이팅크가 1975년 뉴욕 필하모닉과 데뷔했을 때 뉴욕타임스의 평론가 해럴드 숀버그는 이렇게 썼다. “지휘대 위에서 춤추거나, 가르치려 드는 지휘자가 아니다.”   일단 그는 수십 명에서 백 명까지인 오케스트라 단원을 이끄는 일에 짜릿함을 느끼는 타입은 아니다. 인터뷰에서 스스로 “지휘에 맞지 않는 성격”이라 했고, 젊은 지휘자들에게 “카리스마가 지휘자에게 가장 위험하다”며 “훌륭한 연주자들이 실력을 발휘하도록 믿고 기다려라”고 했다. 오케스트라와 연습 시간에도 말을 거의 하지 않았다고 한다. 결정적으로 영국 가디언 인터뷰에서 “지휘가 어떤 일인지 잘 모르겠다. 어떻게 해야 좋은 지휘자가 되는지도 모르겠다”고 했다. 하이팅크가 82세이던 2011년. 지휘 경험이 50년 넘었을 때였다.   하지만 그의 경력은 겸손하다 못해 소극적인 성격과 정반대로 화려하다. 일류 오케스트라인 네덜란드 로열콘세르트허바우(RCO)를 1963년부터 27년동안 상임 지휘자로 이끌었다. 세계 여러 곳이 동시에 원하는 지휘자였다. 런던 로열오페라하우스, 런던 필하모닉, 미국 보스턴 심포니, 독일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의 상임 지휘자를 지냈다. 명성은 한평생 이어져 77세이던 2006년 시카고 심포니의 상임 지휘자로 임명됐을 정도다.   지휘는 리더십을 설명하기 좋은 직업이고, 하이팅크는 독특한 리더다. 어떤 머리 좋은 지휘자는 오케스트라 악보의 작은 점까지 외워, 연습 시간마다 조금이라도 실수하는 단원들을 공포에 떨게 한다. 하지만 하이팅크는 “연주자들을 질책하지 마라. 지휘자는 더 많이 실수한다”며 후배들을 타일렀다. 또 어떤 지휘자들은 주목받을 기회를 마다하지 않지만 하이팅크는 RCO의 대타 지휘 기회가 있었던 27세에 “준비가 덜 됐다”며 제안을 사양했다.   부드러운 리더십이라 한정하기엔 결기가 매섭다. 네덜란드 정부가 1982년 RCO 단원 일부의 정리해고를 계획하자 “네덜란드에서 다시는 연주하지 않겠다”고 엄포를 놔 단원 숫자를 유지시켰다.     유튜브에 많이 남은 공개 레슨 영상에는 사랑받는 리더의 모범이 남아있다. 자신의 주특기이자 대표곡인 브루크너 교향곡 7번을 지휘하는 젊은 지휘자에게 하이팅크는 이렇게 말한다. “작곡가 자신이 이 곡을 지휘했을 때 수줍음 많던 작곡가는 곡을 시작하지 못했어요. 단원들이 ‘선생님?’하고 부르자 그가 말했지. ‘먼저 하세요, 먼저.’ 이 곡에서 과시적인 소리를 내서는 안되는 이유예요.” 음악에 헌신했던 하이팅크가 지난 21일(현지시간) 런던에서 별세했다. 강력하지 않아도 아름다운 리더십을 되새겨본다. 김호정 / 한국 문화팀 기자왜 음악인가 카리스마 지휘자 상임 지휘자 오케스트라 단원 오케스트라 악보

2021-10-27

[J네트워크] 부드러운 리더십의 모범

 무대를 장악하는 지휘자는 분명 아니었다. 베르나르트 하이팅크가 1975년 뉴욕 필하모닉과 데뷔했을 때 뉴욕타임스의 평론가 해럴드 숀버그는 이렇게 썼다.     “지휘대 위에서 춤추거나, 가르치려 드는 지휘자가 아니다.”   일단 그는 수십 명에서 100명까지인 오케스트라 단원을 이끄는 일에 짜릿함을 느끼는 타입은 아니다. 인터뷰에서 스스로 “지휘에 맞지 않는 성격”이라 했고, 젊은 지휘자들에게 “카리스마가 지휘자에게 가장 위험하다”며 “훌륭한 연주자들이 실력을 발휘하도록 믿고 기다려라”고 했다. 오케스트라와 연습 시간에도 말을 거의 하지 않았다고 한다. 결정적으로 영국 가디언 인터뷰에서 “지휘가 어떤 일인지 잘 모르겠다. 어떻게 해야 좋은 지휘자가 되는지도 모르겠다”고 했다. 하이팅크가 82세이던 2011년. 지휘 경험이 50년 넘었을 때였다.   하지만 그의 경력은 겸손하다 못해 소극적인 성격과 정반대로 화려하다. 일류 오케스트라인 네덜란드 로열콘세르트허바우(RCO)를 1963년부터 27년동안 상임 지휘자로 이끌었다. 세계 여러 곳이 동시에 원하는 지휘자였다. 런던 로열오페라하우스, 런던 필하모닉, 미국 보스턴 심포니, 독일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의 상임 지휘자를 지냈다. 명성은 한평생 이어져 77세이던 2006년 시카고 심포니의 상임 지휘자로 임명됐을 정도다.   지휘는 리더십을 설명하기 좋은 직업이고, 하이팅크는 독특한 리더다. 어떤 머리 좋은 지휘자는 오케스트라 악보의 작은 점까지 외워, 연습 시간마다 조금이라도 실수하는 단원들을 공포에 떨게 한다. 하지만 하이팅크는 “연주자들을 질책하지 마라. 지휘자는 더 많이 실수한다”며 후배들을 타일렀다. 또 어떤 지휘자들은 주목 받을 기회를 마다하지 않지만 하이팅크는 RCO의 대타 지휘 기회가 있었던 27세에 “준비가 덜 됐다”며 제안을 사양했다.   부드러운 리더십이라 한정하기엔 결기가 매섭다. 네덜란드 정부가 1982년 RCO 단원 일부의 정리해고를 계획하자 “네덜란드에서 다시는 연주하지 않겠다”고 엄포를 놓아 단원 숫자를 유지시켰다. 런던 로열오페라하우스가 재정 위기로 공연장 1년 휴관을 결정한 2015년엔 사직서를 던졌다.   유튜브에 많이 남은 공개 레슨 영상에는 사랑받는 리더의 모범이 남아있다. 자신의 주특기이자 대표곡인 브루크너 교향곡 7번을 지휘하는 젊은 지휘자에게 하이팅크는 이렇게 말한다. “작곡가 자신이 이 곡을 지휘했을 때 수줍음 많던 작곡가는 곡을 시작하지 못했어요. 단원들이 ‘선생님?’하고 부르자 그가 말했지. ‘먼저 하세요, 먼저.’ 이 곡에서 과시적인 소리를 내서는 안되는 이유예요.”     음악에 헌신했던 하이팅크가 21일 런던에서 별세했다. 강력하지 않아도 아름다운 리더십을 되새겨본다. 김호정 / 한국 중앙일보 기자J네트워크 리더십 모범 상임 지휘자 오케스트라 단원 런던 로열오페라하우스

2021-10-2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